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휘스톤브리지 활용 및 이론 | 휘스톤브리지 사용되는 곳 | 휘스톤브리지란
    전자과 자료 2022. 7. 12. 12:12
    반응형

    전자과라면 시험을 위해서라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휘스톤브리지

    실생활에서도 휘스톤브리지가 사용되는 곳이 많은데요

    휘스톤브리지가 어디에 사용되는지 부터 휘스톤브리지 이론 그리고 휘스톤브리지 계산식 휘스톤브리지 기초이론등에 대해서 알려드릴게요 

    실험 제목 : 휘스톤 브리지

     

    실험의 주요 주제

    휘스톤 브리지로 저항을 측정하는 원리를 실험한다.

    휘스톤 브리지로 커패시터와 인덕터를 측정하는 원리를 실험한다.

    히스톤 브리지를 센서에 활용하는 원리를 실험한다.

     

    실험 관련 기초 이론

    영국의 찰스 휘스톤 이라는 사람이 고안한 저항 측정법이다.

     

    그림 1
    <그림1>에서 R3는 가변저항이고, Rx는 값을 측정하려는 저항이다. 그림에서 가변저항 R3를 조절하면 단자 A-B간의 전압 Vo0[V]로 만들 수 있다. 이를 휘스톤 브리지의 평형상태라 한다. 평형상태가 되면 R1R3에는 같은 전류 IA가 흐른다.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런 식을 도출 해 낼 수 있다.
    가변저항R3를 조절하여 휘스톤 브리지를 평형상태로 만든 다음, 회로에서 R3를 떼어내어 저항값을 측정하면 식을 이용하여 저항 Rx의 값을 알 수 있다.
    휘스톤 브리지는 일반적인 멀티미터보다 정밀하게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림 2
    <그림2>는 커패시턴스를 측정하기 위해 저항 대신 두개의 커패시터를 연결했다. C1은 값을 알고 있는 커패시터이고, Cx는 값을 측정하려는 커패시터다. 회로에는 교류전원 V1이 연결되어 있다. 각변저항 R2를 조절하여 평형상태를 만든다.
    이러한 식이 성립이 된다.
    옴의 법칙을 적용한뒤 정리하면
    이렇게 정리 할 수 있고, 이 식을 이용하여 커패시터 Cx를 구할 수 있다.

     

    그림 3

     

    인덕턴스를 측정하기 위한 휘스톤 브리지의 구성이다. L1은 값을 알고 있는 인덕터이고, Lx는 값을 측정하려는 인덕터이다.
    휘스톤 브리지가 평형상태가 되면,
    식이 성립한다.            
    옴의 법칙을 적용하고 식을 정리하면
    이 식으로 Lx의 값을 구할 수 있다.

     

    휘스톤 브릿지의 활용 으로는 온도, 압력, 스테인과 같은 물리량을 측정하는 센서에 많이 활용된다. 이 경우 휘스톤 브리지는 트랜스듀서와 결합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어 스테인 게이지와 같은 트랜스듀서는 건물이나 다리 같은 건축물에 생기는 변형을 저항의 변화로 바꾸어 준다. 스테인 게이지를 휘스톤 브리지와 결합하면 저항의 변화를전압의 변화로 바꿀 수 있다.

     

    실험 장비

     

    실험1 휘스톤 브리지의 원리.

    (1)실험 회로를 구성하여라

       

    직류전원 V=5[V]를 인가하였고, 저항 R1=[1KΩ], R2=[2KΩ],가변저항R3=[1KΩ], Rx=300[Ω]을 연결 하였다. Vo0[V]가 되도록 가변 저항 R3를 조절한뒤

    (2) R3를 회로에서 떼어낸 다음 멀티미터로 저항값을 측정하여 표에 기록하라.

    (3) 관련 식을 이용하여 Rx를 계산하여 표에 기록하라.

    (4) Rx를 표에 주어진 다른 저항으로 바꾸고 실험과정 (2)~(3)을 반복하라.

     

    Rx 300[Ω] 470[Ω] 1[KΩ] 1.2[KΩ]
    R3 149.7[Ω] 235.2[Ω] 502.32[Ω] 616.12[Ω]
    Rx(계산값) 150[Ω] 235[Ω] 500[Ω] 600[Ω]

            

     

     

    실험2 커패시턴스 측정

     

    (1)실험회로를 구성하여라.

     

    교류전원V1=1[KHz], 15Vpp의 정현파를 인가하였고, 저항 R1=[1KΩ], 가변저항R2=[1KΩ], 커패시터 C1=0.1[uF] 값을 측정하려는 커패시터 Cx=0.33[uF] 각각 연결 하였다. Vo 0[V] 되도록 가변저항 R2 조절하였다.

    (2)R2 회로에서 떼어낸 다음 멀티미터로 저항값을 측정하여 표에 기록하라.

    (3)관련 식을 이용하여 Cx 계산고 표에 기록하라

    Cx 0.33[uF]
    R2
    3.19[Ω]
    Cx(계산값)
    0.31[uF]

     

     

    실험3 인덕턴스 측정

     

    (1)실험 회로를 구성 하라.

     

    교류전원 V1=1[KHz], 15Vpp의 정현파를 인가하였고, 저항 R1=300[Ω], 가변저항R2=[5KΩ], 인덕터 L1=2.2[mH] 값을 측정하려는 인덕터Lx=4[mH]를 각가 연결하였다. Vo0[V]가 되도록 가변저항 R2를 조절하였다.

    (2) R2를 회로에서 떼어낸 다음 멀티미터로 저항값을 측정하여 표에 기록하라.

    (3)관련 식을 이용하여 Lx를 계산하여 표에 기록하라.

    (4)Lx를 표에 주어진 다른 인덕터로 바꾸고, 실험과정 (2)~(3)을 반복하라.

    Lx 4[mH] 10[mH] 20[mH]
    R2 637.82[Ω] 1.23[KΩ] 3.28[KΩ]
    Lx(계산값) 4.64[mH] 9.02[mH] 24.05[mH]

     

     

     

     

    실험4 인덕턴스 측정

     

    (1)실험 회로를 구성하라.


    직류전원 V=5[V] 인가하였다. 저항R1,R2,R3 모두 1[KΩ]이다.

    (1)실험 회로의 RT는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서미스터로 가정한다.

    (2)RT=1[KΩ]을 연결하고 Vo을 측정하여 표에 기록하라

    RT 1[KΩ]
    Vo 6.87mV

     

     

     

     

    결과 검토

    1. 실험1에서 주어진 Rx 값과 Rx(계산값) [%]오차를 계산하라.

    à0.2%

    2. 실험2에서 주어진 Cx 값과 Cx(계산값) [%]오차를 계산하라.

    à14%

    3. 실험3에서 주어진 Lx 값과 Lx(계산값) [%]오차를 계산하라.

    à 7%

    4. 실험4에서 RT 따라 Vo 변하는지 확인하라. 만일 변한다면 휘스톤 브릿지를 어떻게 센서에 활용 있는지 설명하라

    à다리 밑에 센서를 달고 물체가 다리위를 지나갈 전압값이 변화하여 센서가 작동한다.

     

    실험에서 배운점

    휘스톤 브릿지가 사용되는 곳이 어디인지 생각을 해보는 시간을 가져보았고 실험에서만 끝나는 것이 아닌 직접 계산값을 도출해내기 위해 계산식을 찾아 보았다.

    처음엔 계산 하는것에 어려움이 있었고, 이해가 되지 않았지만 시간을 갖고 생각해보고

    마침내 계산 하는 원리를 깨달았다.

    계산 후에는 식이 어떻게 도출 되었는지 원리를 이해하려고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나아가 교수님께서 설명해주신 휘스톤 브릿지를 센서에 활용 있는 방법을 한번더 생각 보았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